banner

킹덤 (2019) 리뷰 – 좀비와 정치가 만난 한국형 사극 스릴러

서론: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역작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은 좀비물, 정치 드라마, 사극이라는 장르를 절묘하게 결합한 작품입니다. 조선 시대라는 한국 고유의 역사적 배경 위에 전염병이라는 소재를 얹어, 단순한 생존 스릴러를 넘어 권력과 진실, 인간성에 대한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김은희 작가의 촘촘한 각본과 김성훈 감독의 연출, 그리고 주지훈, 류승룡, 배두나 등 배우들의 열연이 어우러져 한국 콘텐츠의 새로운 도약을 알린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킹덤 드라마 포스터

[출처: 넷플릭스 코리아]

 

줄거리 요약: 역병 속 진실을 좇는 왕세자

왕이 병으로 쓰러지자 조정은 비밀리에 그 사실을 은폐하려 합니다. 세자는 아버지의 상태에 의문을 품고 진실을 파헤치던 중, 시체가 되살아나는 괴이한 전염병의 존재를 알게 됩니다.

세자는 생존을 위해, 그리고 백성을 지키기 위해 동래로 향하며 역병의 근원과 정치적 음모를 동시에 파헤쳐 나갑니다. 이 여정은 단순한 전염병 극복기가 아닌, 무너진 국가 시스템과 그 속에서 살아남으려는 인간 군상의 이야기입니다.

 

인물 분석: 권력과 인간성 사이에서

  • 이창 세자 (주지훈): 정의롭지만 현실에 부딪히는 이상주의자. 백성을 위해 싸우지만, 왕실의 후계자로서 정치적 책임도 짊어져야 합니다.
  • 조학주 (류승룡):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인물. 좀비보다 더 무서운 존재는 어쩌면 인간 그 자체일지도 모릅니다.
  • 서비 (배두나): 의녀로서 사건의 핵심을 추적하는 이성적인 인물. 의료와 과학의 시선으로 좀비와의 전쟁에 접근합니다.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위기에 대응하며, 그 충돌이 이야기의 긴장감을 이끌어냅니다.

 

주제: 질병, 권력, 그리고 진실

킹덤은 단순한 좀비물이 아닙니다. 작품은 다음과 같은 주제를 심도 있게 탐구합니다:

  • 정치와 진실 은폐: 정보의 독점이 어떻게 사회 전체를 위기에 빠뜨리는지를 보여줍니다.
  • 백성을 위한 통치란 무엇인가: 군주의 책무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던집니다.
  • 공포의 사회적 확산: 실제보다 무서운 것은 불신과 혼란입니다.

좀비는 단순한 괴물이 아닌, 썩은 권력과 사회 시스템을 상징하는 은유로 기능합니다.

 

시각과 연출: 아름다움과 공포의 공존

사극의 미장센과 좀비물의 속도감이 놀라울 정도로 조화를 이룹니다. 한복과 기와집, 산과 강이라는 전통적 배경 속에서 펼쳐지는 피의 광경은 독특한 시각적 충격을 줍니다.

특히 낮에는 움직이지 않고 밤에만 활동하는 좀비 설정은 긴장감을 한층 끌어올리며, 해가 지는 순간부터 폭발적으로 이어지는 전개는 시청자에게 몰입을 강요합니다.

 

문화적 영향: K-콘텐츠의 글로벌 도약

킹덤은 전 세계에 한국 콘텐츠의 저력을 알린 작품입니다. 사극과 좀비라는 이질적 장르의 결합은 큰 호기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를 뒷받침하는 탄탄한 이야기 구조는 글로벌 시청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후 많은 제작사들이 한국형 장르 혼합물에 주목하게 되었고, 킹덤은 K-드라마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결론: 역병보다 무서운 것은 인간

킹덤은 단순한 좀비 서바이벌이 아닌, 인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누구도 믿을 수 없는 세상에서, 우리는 무엇을 기준 삼아 행동해야 할까요?

조선이라는 시대적 틀 속에서, 킹덤은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위기와 맞닿아 있습니다. 그것이 이 드라마가 단순한 장르물을 넘어선 이유입니다.

 

 

참고 링크: 킹덤 (Kingdom, 2019)

 

> 📚《마더 (2009)》리뷰 – 본능, 광기, 그리고 모성의 경계

> 📚《곡성 (2016)》리뷰 – 두려움과 모호함에 뿌리를 둔 한국형 공포 명작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