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

D.P. (2021) 리뷰 – 탈영병을 쫓는 자, 그를 만든 사회

서론: 군대, 인간성, 그리고 책임의 이야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P.》는 군대 내 탈영병을 추적하는 군무 이탈 체포조(Deserter Pursuit)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드라마입니다. 단순한 군대물이나 수사물이 아니라, 그 속에 감춰진 인간 군상과 사회의 민낯을 직시하게 만듭니다.

정해인이 맡은 안준호 일병은 관찰자이자 추적자이며, 동시에 우리가 외면해온 현실의 목격자입니다.

 

D.P. 드라마 포스터

[출처: 넷플릭스]

 

줄거리 요약: 탈영병을 쫓는 고단한 임무

훈련소를 갓 마친 안준호는 특유의 냉정함과 눈썰미로 헌병대 소속 D.P.조에 배치됩니다. 그의 임무는 탈영한 병사들을 추적하고 체포하는 일. 하지만 각 탈영병의 사연을 마주하면서, 준호는 단순한 군무 이탈이라는 표현 뒤에 숨겨진 고통과 절망을 체감하게 됩니다.

동료 상병 한호열과 함께 전국을 누비며 펼치는 추적은 점점 준호를 변화시킵니다. 그의 눈에 비친 군대는 단순한 훈련장이 아닌, 폭력과 무관심이 공존하는 축소 사회입니다.

 

인물 분석: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

  • 안준호 (정해인): 냉정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갈수록 무너져가는 내면을 가진 청년. 병사들과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 하지만, 진실 앞에서 흔들립니다.
  • 한호열 (구교환): 능청스러움 속에 따뜻한 공감을 품은 인물. 군대라는 구조 속에서도 인간을 보려 합니다.
  • 박범구 중사 (김성균):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현실주의자. 무심함 속에서 상처를 품고 있는 인물입니다.

각 인물은 군대라는 제도의 다른 면을 대표하며, 그 안에서 인간성의 균열을 보여줍니다.

 

주제: 구조가 만든 상처

《D.P.》는 병사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제도적 문제를 직시하게 만듭니다.

  • 폭력의 대물림: 구타와 괴롭힘은 끊이지 않으며,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기도 합니다.
  • 무관심한 체계: 탈영병의 사연은 대부분 외면당하며, 그 책임은 개인에게만 떠넘겨집니다.
  • 청춘의 소모: 군대는 청춘을 소비하고, 그 대가는 돌아오지 않습니다.

이 드라마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오랫동안 이 구조를 묵인해왔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연출과 몰입감: 사실감과 절제의 미학

김보통 작가의 원작 웹툰을 기반으로 한 이 드라마는, 각 에피소드가 탈영병의 사연에 집중되며 마치 옴니버스처럼 구성됩니다. 이창훈 감독의 연출은 과장되지 않으며, 차분한 톤 속에서 폭발적인 감정을 끌어냅니다. 군복을 입고 있음에도, 그들은 누군가의 아들이자 친구이며, 우리가 지나쳐온 이야기입니다.

 

문화적 영향: 침묵을 깬 목소리

《D.P.》는 방영 직후 폭발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군대 내 가혹행위와 제도의 문제를 다시금 조명하게 만들었습니다. 현실 고발적 드라마로서,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사회적 목소리를 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또한 넷플릭스를 통한 글로벌 공개는, 한국의 병역 제도가 해외 시청자에게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결론: 쫓는 자, 그리고 만들어낸 자

《D.P.》는 누구를 쫓는 드라마가 아닙니다. 오히려, 왜 쫓아야 했는지를 묻는 작품입니다. 그들이 뛰쳐나간 이유는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우리는 그들에게 어떤 사회였는가. 그 질문이야말로, 《D.P.》가 던지는 가장 무거운 메시지입니다.

 

 

📌 참고 링크: 위키백과 D.P. (2021)

 

> 📚 《타인은 지옥이다 (2019)》 리뷰 – 도시 고립 속 심리 공포의 끝

> 📚 《킹덤 (2019)》 리뷰 – 좀비와 정치가 만난 한국형 사극 스릴러

 

 

댓글 남기기